[교육학] 탐구수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7 05:19
본문
Download : [교육학] 탐구수업.hwp
3. 탐구수업의 목적
1) 학습자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의 개발: 탐구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과학적인 탐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하여 학습자의 자율적인 학습능력을 개발하고자 한다.
2) 연역적 사고와 귀납적 사고의 중시 : 탐구과정에서 가설의 설정은 연역적 사고에 의해 가능하지만 증거를 통한 가설의 입증과 일반화는 귀납적 사고에 의…(drop)
[교육학] 탐구수업
다.
![[교육학]%20탐구수업_hwp_01.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D%83%90%EA%B5%AC%EC%88%98%EC%97%85_hwp_01.gif)
![[교육학]%20탐구수업_hwp_02.gif](http://www.allreport.co.kr/View/%5B%EA%B5%90%EC%9C%A1%ED%95%99%5D%20%ED%83%90%EA%B5%AC%EC%88%98%EC%97%85_hwp_02.gif)
교육학,탐구수업,사범교육,레포트
- 먼저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교육학] 탐구수업사범교육레포트 , 교육학 탐구수업
설명
Download : [교육학] 탐구수업.hwp( 78 )
탐구수업
1. 탐구수업의 의미
1) 탐구수업이란 학생들로 하여금 교수-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지식이나 정보를 획득하고 조직하는 방법을 가르쳐 주려는데 근본취지를 두고 있는 교수법이다.
2) 탐구식 수업: 과학적 문제의 일반적 탐구과정인 문제의 탐색-가설설정-가설검증-일반화의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안내를 강조하는 수업을 탐구식 수업이라고 한다.
2) 고등정신기능의 신장: 탐구수업은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인식하고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입증하는 탐구과정을 통해 인과적 추론능력을 신장시켜 주고자 한다.
2. 탐구수업과 발견수업
1) 발견식 수업: 체계적인 문제해결과정을 강조하기보다는 직관적인 발견활동에 더 많은 비중을 두는 수업을 발견식 수업이라고 한다.
2) 학생으로 하여금 과학자나 전문가가 하는 일과 수준은 다르지만 질적으로는 동일한 탐구과정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학생의 탐구기능을 계발하고 교과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수업법이다.
4. 탐구수업의 특징
1) 직관적인 사고의 중시 : 학습자에게 문제상황이 주어졌을 때 가설의 설정은 分析적인 사고를 통해서 나올 수도 있지만, 직관적인 사고를 통해서도 나올 수 있따 탐구수업에서는 分析적 사고만을 강조하는 종래의 수업방식과는 달리 직관적 사고도 중시한다.
[교육학] 탐구수업
레포트/사범교육
순서
[교육학] 탐구수업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3) 이 수업방식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도록 요구한다는 점에서 설명(說明)식 수업과는 대조적이다.
3) 그러나 두 방법 모두 근본적으로 학생의 능동적인 탐구활동을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없기 때문에 구별없이 사용해도 무리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