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uments.kr []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 documents5 | documents.kr report

[]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 documents5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documents5

[]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21:10

본문




Download :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hwp






최기호 「한글 맞춤법 새 길라잡이」, 토담, 1995
순서
- 다양한 data(資料)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제1항의 규정
남서우, 정재영 「북한의 언어 생활」, 고려원, 1994
즉, `꽃`이라는 단어는 그것이 놓이는 環境(환경)에 따라 []으로도 [꼰]으로도 때로는 [꼿]으로도 소리 나지만 항상 그 형태를 기본형인 `꽃`으로 고정해 표기함으로써 읽기에서의 편의를 도모하고 표의성(表意性)을 추구한다는 것이다.
 제1항 : 한글 맞춤법은 표준어를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을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③관용의 존중
김명호 외 「북한 사회의 이해」, 집문당, 1996

셋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가 지켜지는 범위 안에서 `어법`을 고려한다는 점이다.
- 국어국문학과 2학년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김민수 「북한의 국어 연구」, 一潮閣, 1993 김명호 외 「북한 사회의 이해」, 집문당, 1996 남서우, 정재영 「북한의 언어 생활」, 고려원, 1994 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이희승, 안병희 「한글 맞춤법 강의 : 한글 맞춤법, 표준어 모음,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신구문화사, 1994 최기호 「한글 맞춤법 새 길라잡이」, 토담, 1995 한글 맞춤법 (문교부 고시 제 88-1호:1988.1) 우리말 배움터 (http://urimal.cs.pusan.ac.kr)

(1) 표기의 기준
흔히 한글은 세상에서 적지 못할 말이 없다고 하고 새 울음소리며 빗소리며 바람 소리며 별별 굉음까지도 다 적을 수 있는 문자라는 점을 `훈민정음`에서부터 자랑하고 있고 또 그것이 어느 정도 사실이기도 하다.
2. 제2항의 규정

<총칙>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
`한글 맞춤법`의 표기 원리에 대하여 일반적으로 `형태 음소적 원리`라고 말한다. 그러나 `한글 맞춤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한글의 표기 대상은 아무 소리나 아무 말이 아니고 바로 `표준어`라는 것이다.

설명
첫째 `한글 맞춤법`은 국어 가운데 `표준어`를 표기 대상으로 한다는 점,

②국어 特性의 존중
우리말 배움터 (http://urimal.cs.pusan.ac.kr)


(1) 표음주의의 반영(소리대로 적되)
둘째 `한글 맞춤법`은 표음주의를 일차적으로 지향한다는 점,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data(資料)] 김민수 「북한의 국어 연구」, 一潮閣, 1993
①원자음의 고려

한글 맞춤법 (문교부 고시 제 88-1호:1988.1)

민현식(1999) 「국어정서법 연구」, 태학사
[]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현행 한글 맞춤법의 원리에 대하여 논해보시오

Download :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hwp( 98 )



(2) 표의주의의 반영(어법에 맞도록)


이희승, 안병희 「한글 맞춤법 강의 : 한글 맞춤법, 표준어 모음, 표준어 규정, 외래어 표기법」, 신구문화사, 1994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5374_01.gif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5374_02_.gif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5374_03_.gif 현행 한글맞춤법의원리[2]-5374_04_.gif list_blank_.png


국어국문학과, 한글맞춤법, 맞춤법과표준어, 맞춤법, 맞춤법의 원리, 현행 한글 맞춤법
- 국어국문학과 2학년 맞춤법과 표준어 공통 참고data(資料)입니다
원칙으로 한다.


 제3항 : 외래어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적는다. `형태 음소적`이란 한글이 표음 문자이기는 하지만 소리대로만 적는 것이 아니라 형태소의 기본형을 밝히고 고정해 적는다는 말이다.
 제2항 : 문장의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1. 제1항의 규정
(2)표기의 원칙



3. 제3항의 규정
다.
전체 7,73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documents.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