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9 09:18본문
Download :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hwp
곧 〈한글 맞춤법〉의 제3항의 외래어에 대한 규정은 ‘표준어’와 같은 범주를 정하는 것이 아니고 별도의 표기법을 마련하는 근거만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표준어 규정〉의 제1장 총칙 제2항의 ‘외래어’의 범주는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고 규정하였으나 어디에서도 사정 원칙과 범주를 표시한 규정이 없다.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 ,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인문사회레포트 ,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 기준
설명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
1. 들어가며
국가사업으로 진행해 온 『표준』대사전이 담당할 수 있는 지식 자원은 이미 포화 상태에 도달했다.
2. 규범과 국어기본법 시행령의 철저한 실현
『표준』대사전에서 ‘맞춤법’은 “어떤 문자로써 한 언어를 표기하는 규칙”이라고 定義(정이)하고 있고, ‘표기법’은 “부호나 문자로써 한 언어를 표기하는 규칙”으로 定義(정이)하고 있다 그런데 ‘맞춤법’에도 문장부호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니 차라리 ‘맞춤법’보다 ‘표기법’이라는 용어가 더 적합할 것 같다. 규범 검색, 전자사전 지원, 전문용어 검색, e-book…(To be continued )
국어,지키기를,위한,국어,표준,대사전,기준,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
Download :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hwp( 30 )
국어 지키기를 위한 국어 표준 대사전의 기준
순서
다. 따라서 새로이 생산되는 지식 영역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가장 먼저 사전 지식의 기준을 새로 설정하고 또 그 data(자료)의 생산과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3. 표준어 외의 언어 관리
표준어의 둥지 밖에 방치되어 있는 전문용어, 신어, 한자어, 민속 생활 어휘, 지역어, 인문 사회 과학의 각종 전문 학술 용어 등을 규범에 맞도록 재정비하면서 표준어 대상의 외연을 넓혀야 한다. 또 다른 문제는 〈한글 맞춤법〉의 제3항의 외래어 규정과 〈표준어 규정〉의 제1장 총칙 제2항의 규정이 서로 상충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어문 규범과 국어사전 간의 규범 집행과 관리의 모순을 改善해야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받을 수 있다
4. 언어 정보 처리 기술력의 강화
앞으로 인터넷(Internet)을 활용한 유비쿼터스 학습 방식을 통해 스스로 지식을 축적하고, 추론을 통해 스스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이를 사람과 기계 간, 기계와 기계 간 적절히 이용할 수 있는 자연 언어 처리 기술력으로 고도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