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초기의 歷史(역사)인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5 13:13
본문
Download : 근대 초기의 역사인식.hwp
근대 초기의 역사인식에 대해서 쓴 글입니다. 이것은 중화사관을 극복하고 민족사관을 수립하려는 시도로 평가할 수 있따 조선건국기원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국가주의적 사고의 표현이라 하겠다. 그러나 편년체 방식을 답습하였고 왕실 중심의 명분론 시각 등 중세적 잔영이 완연하기 때문에 근대사학의 저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1895년에 간행된 『조선역싸』『조선역대사략』『조선약사』의 3서는 학부에서 편찬한 것이므로 저술자가 밝혀져 있지 않다. 다급하게 편찬한 흔적이 거친 서술내용에 역력히 나타나 있따 처음에는 『조선역싸』와 『조선역대사략』을 간행했는데 내용이 너무 어려워 초등학교 입문용으로 다시 『조선약사』를 편찬한 것 같다.근대초기의역사인식 , 근대 초기의 역사인식사범교육레포트 ,
2. 역싸편찬의 변천
실학사서 이후의 역싸편찬은 관립학교의 교과서 편찬에서 비롯되었다. 인물도 종래와 같은 성리학의 사림학자가 아니라 국가공신을 중심으로 intro 한 점 등 역싸의식이 크게 변한 서술내용이 담겨있따 소학교 입문용으로 편찬한 것이기 때문에 다른 책에 비하여 내용이 소략하고 서툰 문장으로 서술되어 있으나, 서술방식만큼은 그때로서는 혁명적 alteration(변화) 라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 역싸 교육의 theory 이 서 있지 않았으므로 교과서라고 해도 전문서적에 버금갈 정도로 내용이 자세하다.
레포트/사범교육
근대초기의歷史(역사)인식
순서
,사범교육,레포트
Download : 근대 초기의 역사인식.hwp( 23 )
설명





다. 왕조의 변천은 요점만 밝히고 각종 제도와 사회생활에 비중을 두고 서술한 것이다.
『조선역싸』와 『조선약사』는 국한문을 혼용한 최초의 역싸서이고 조선건국기원(1392)을 사용하였다. 등재인물의 교체가 그 이유인 것 같다. 이런 점들을 감안할 때 근대사학에 접근하려고 노력했다고 하겠다.
1899년에 『동국역대사략(東國歷代史略)』 1895년에 간행된 교과서에서 도입했던 조선건국기원을 버리고 中國의 연기(年紀)를 사용하였고 Japan연기 및 서기(西紀)를 함께 사용하고 있다…(생략(省略))
근대 초기의 歷史(역사)인식
근대 초기의 歷史(역사)인식에 대하여 쓴 글입니다.
그런데 『조선약사』의 경우는 편년체를 떠난 것이어서 특별히 주목되어야 한다. 그리고 실증에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 서술내용과 방식이 alteration(변화) 하는 것은 역싸인식의alteration(변화) 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조선약사』의 서술방식이 그 후에 계승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