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판 한국문학통사 4 (조동일) 요약, 정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8:39
본문
Download : 73제4판_한국문학통사_4_.hwp
유교가사라고 할 것은 허다하고, 불교나 천주교에서도 가사를 지어 교리를 나타냈다. 이병헌 같은 사람은 믿고 의지해야 할 종교가 있어야 하는 시대에 이르렀다고 공자교운동을 일으켰다.
10.2.3. 민요에 나타나는 항거와 비판
10.2.4. 민요 개작 운동 4―71
10.6.3. 소설에 대한 관심과 논의 4―223
교수님의 강의와 밑줄 위주로 요약 정리했습니다. 각 지방에서 언제나 같은 기능을 하면서 전승되는 민요를 고정민요라고 한다면, 지역적인 한계를 넘어서서 널리 불리고 기능이 일정하지 않은 민요는 유동민요 또는 유행민요라고 할 수 있따
10.10.2. 활자본 신작구소설 4―347
- 1894년에 전봉준이 주동이 되어 전라도 고부에서 일으켜 전국적인 규모로 확산한 사상 초유의 대규모 민란을 오랫동안 동학란이라고 일컫다가, 오늘날은 동학혁명 또는 갑오농민전쟁이라고 한다. 제1기에는 근대문학을 이룩하는 길을 스스로 모색하고, 제2기는 외부의 충격에 대응하면서 전환을 더욱 가속화한 시기이다. `현대문학사(권영민)` 은 제 자료 중에 있습니다. 교조의 생애를 이야기하는 신이한 전설은 교단에서 애쓰지 않아도 진인이나 영웅의 출현을 고대하는 전승의 유형에 따라서 저절로 생겨나 널리 퍼져나갔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10.8. 국문시가의 새로운 양상 4―272
10.2.6. 재담 기록의 의도와 방법 4―81
10.3.2. 가사에서 전개된 종교사상 논쟁 4―93
10.3.1. 노래로 부르는 시조 4―89
10.6.4. 일본 유학 세대의 견해 4―230
10.9.5. 시사토론문 4―335
10.1.4. 유교와 불교에 의거하는 길
- 유교나 불교에 의거해서 세상을 구하겠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10.1.7. 노선 전환의 두 방향 4―39
10.10.1. 방각본ㆍ필사본소설의 변모 4―340
10.8.3. <대한매일신보> 가사 4―287
10.2. 구비문학의 활기와 긴장 4―46
10.12. 신체시의 불안한 위치 4―413
10.3.3. 경험 확대를 보인 가사 4―101
10.4.3. 문장가의 사명 4―147
10.7. 국문운동과 문체 혁신 4―243
10.5. 의병 투쟁의 문학 4―181
10.1.6. 대종교의 주장
10.1.4. 유교와 불교에 의거하는 길 4―24
10.8.4. 신문ㆍ잡지 가사의 다양한 모습 4―295
10.6.5. 문학사의 출현 4―238
10.7.5. 작문법 개발을 위한 노력 4―266
10.12.5. <유심> 시기의 한용운 시 4―436
10.11. 민속극ㆍ창극ㆍ신파극 4―387
설명





[참고 ] 제4판 한국문학통사4 / 조동일 / 지식산업사 / 2006
- 기존의 권력층을 약화시키고 왕권이 시 민 층 이하 일반 민중과 직접 제휴하도록 한 것이 대원군의 긍정적인 기여였다. 첫째 요건은 인물이 잘 나야 하는 것이다.
10.1.6. 대종교의 주장 4―34
- 판소리에는 ‘~타령’이라는 것과 ‘~가’라는 것이 있는데, ‘타령’이 상스럽다면 ‘가’는 격조가 높다고 할 수 있따
10.12.1. 최남선의 의욕과 파탄 4―413
10.2.1. 대원군 집권기의 전환 4―46
10.14.4. 희곡 4―469
10.11.1. 민속극의 발전과 변모 4―387
10.2.5. 설화의 변모 양상 4―77
10.4.1. 문학과 사상의 정통 재확인 4―134
10.8.1. 1890년대의 독립ㆍ애국가 4―272
10.8.6. 언문풍월에 대한 관심 4―309
제가 공부하려고 만든 것이기에 공부하시는 데 도움 될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하층민의 일기를 모으는 민중예술이면서 상층의 애호도 받는 이중적인 성격이 판소리의 운명을 어떻게 결정짓는가는 상황에 따라서 달라지게 마련이었는데, 대원군은 판소리를 무척 즐기고 판소리광대를 고무해 평가 상승을 가속화했다.
10.14. 망명지문학의 형성 4―458
10.13.1. 현상윤과 양건식의 단편소설 4―440
10.5.5. 투쟁의 경과를 되새긴 가사 4―205
10.13. 방황하는 세대의 소설 4―440
순서
10.4.8. 한문학의 유산 정리(arrangement) 4―178
10.10.4. 신문ㆍ잡지 국문소설의 등장 4―360
- 나철, 민족의 자부심을 되찾고자 하는 요구를 체계화된 사상으로 수렴하면서, 과거의 영광에 근거를 두고 민족사를 이해하는 기본 관점을 제시하는 구실을 했다.
10.8.5. 시조의 변모 4―301
- 최제우, 국문가사는 널리 이용되는 표현 매체였다. 제가 공부하려고 만든 것이기에 공부하시는 데 도움 될 것입니다. 가객 안민영, 광대 후원자 신재효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고 하층 예술을 크게 진작한 것이 그 때문에 필요하고 가능했다.
10.6.1. 한문학 세대의 주장 4―211
10.7.2. 국문 사용의 확대와 formula화 4―247
한국문학통사 조동일 제4판한국문학통사 한국문학통사제4판 국문학사
10.12.4. 김억과 <태서문예신보> 4―430
10.13.3. 이광수의 초기 장편소설 4―448
10.10. 소설의 판도와 신소설의 위치 4―340
10.5.2. 투쟁의 경과 기록 4―184
10.3.6. 산문 기록의 양상 4―124
10.14.3. 소설 4―467
10.1.3. 동학혁명의 문학 4―18
국문학사 Task 입니다. - 이제부터 다룰 시기는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2기이다. 둘째는 사설 꾸미는 솜씨가 뛰어나야 한다고 했다.
10.14.2. 시가 4―460
10.3.4. 역사의식을 고취한 가사 4―111
- 강일순, 무속에 뿌리를 두었다고 할 수 있는 해원사상을 민중종교의 여러 교조 가운데 강일순이 특히 강조해서 말했다.
10.9.4. 동물우화를 이용한 논란 4―333
10.5.1. 투지를 선포한 격문 4―181
- 1894년에 막대한 타격을 받은 동학을 재건하겠다고 나선 3세 교주 손병희는 1906년에 교명을 천도교라 바꾸고, 교단의 단합과 합법적인 포교에 힘썼다.
10.9.3. 다시 나타난 몽유록 4―327
10.13.2. 이광수의 단편소설 4―444
10.3.7. 활자본 잡가집 4―127
10.10.3. 한문소설의 마지막 모습 4―355
10.1.2. 동학사상의 표현 방법
10.1.7. 노선 전환의 두 방향
10.4.5. 우국문학의 진통 4―159
10.14.1. 망명지문학의 성격 4―458
10.13.4. 현상응모 소설 4―454
10.3. 구시대 국문문학의 지속과 변모 4―89
10.2.2. 판소리의 상승과 변모 4―53
10.11.3. 창극의 등장 4―396
10.7.1. 전환기의 상황 4―243
10.1.3. 동학혁명의 문학
10.1.2. 동학사상의 표현 방법 4―13
동학에 이어서 계속 생겨난 수많은 종교를 신흥종교 또는 민중종교라고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다음 17세기에 시작된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가, 최제우가 동학을 창건한 1860년을 계기로 제2기로 바뀌었다. 동학가사를 국문으로 지어 종교사상 논쟁에 참여해야 새로운 종교를 창건했다고 널리 알릴 수 있었다.
10.10.5. 이인직과 이해조의 신소설 4―368
10.6.2. 국문문학으로의 전환 이론(理論) 4―217
10.1.1. 민중종교운동의 경과 4―9
10.11.2. 닥쳐온 시련 4―392
`현대문학사(권영민)` 은 제 중에 있습니다.
- 조선왕조의 억불정책 때문에 위축되어 있으면서 왕실의 가호나 얻으려고하던 과거를 청산하고, 교리를 대중화하고 포교 방법을 쇄신하기 위해 새로운 각오로 나서자는 이들이 있었다.
10.8.2. 1900년대 이후의 창가 4―278
10.9. 시대 각성을 위한 산문 갈래 4―315
10.2.2. 판소리의 상승과 변모
10.1.5. 증산교의 득도 기록
10.5.3. 기백과 울분을 나타낸 한시 4―189
10.4.2. 개화ㆍ계몽의 길 4―139
- 민요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10.10.7. 번역ㆍ번안소설 4―382
10.2. 구비문학의 활기와 긴장
10.5.4. 투쟁을 위한 가사 4―197
10.2.3. 민요에 나타난 항거와 비판 4―64
10.4.7. 신문과 잡지에 실린 한시 4―173
10.1.5. 증산교의 득도 기록 4―30
10.1.1. 민중종교운동의 경과
민족이 함께 부를 수 있는 전국적인 민요가 나타났으며 민요를 통해서 시대變化(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새로운 창조가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교수님의 강의와 밑줄 위주로 요약 정리했습니다.
10.9.1. 역사ㆍ전기문학 4―315
국문학사 과제입니다.
- 광범위한 호응을 얻기 위해서는 국문을 사용해 득도의 의미와 충격을 나타내는 수법을 새롭게 개척해야만 했다. 셋째 요건으로 든 ‘득음’은 음악의 수련이 어느 경지에 이른 것을 말한다.
Download : 73제4판_한국문학통사_4_.hwp( 70 )
10.1. 민중종교운동과 문학 4―9
10.11.4. 신파극으로 가는 길 4―402
10.2.1. 대원군 집권기의 전환
- 이해조가 명창들의 구술을 토대로 해서 <옥중화>, <강상련>, <연의각>, <토의간>으로 개작한 것은 판소리계 소설의 새로운 본보기이기에 주목할 만하지만 발전적인 해석은 찾기 어렵다. 넷째로 말한 ‘너름새’는 “놀음새‘라고 표기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노는 모습‘이지만, 원래의 말을 그대로 두어야 제 맛이 난다.
- 광대 노릇을 잘 하려면 네 가지를 갖추어야 한다고 했다.
10.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문학 제2기 1860~1918년
10.6. 신구 문학관의 대립과 교체 4―211
10.12.3. 현상윤, 최승구, <학지광>의 시인들 4―425
10.10.6. 여타 신소설의 작가와 작품 4―376
10.7.4. 국문연구의 열의와 성과 4―260
다.
10.11.5. 희곡 작품의 면모 4―408
10.4.6. 적극적 항쟁의 문학 4―165
제4판 한국문학통사 4 (조동일) 요약, 정리
10.12.2. 이광수가 택한 길 4―420
이항로 계열의 척사위정파는 세상이 그릇되고 나라가 위기에 처한 것은 오로지 성현의 가르침을 저버린 탓이라고 하며 정통을 수호하고자 했다. [참고자료] 제4판 한국문학통사4 / 조동일 / 지식산업사 / 2006
10.4. 한문학에 부과된 사명 4―134
- 민요는 민중의 노래로 머무르지 않고 민족의 노래로서 새로운 구실을 했다.
10.7.3. 국문 사용을 둘러싼 논란 4―254
10.3.5. 규방가사의 변모와 각성 4―116
10.4.4. 한문학의 저변 확대 4―155
10.9.2. 번역서의 기여 4―322
- 민속예술 또는 구비문학의 여러 종목 가운데 판소리는 음악적인 세련성이나 문학적인 수식을 다른 어떤 것보다 잘 갖추어 출세를 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