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자치의 활성화대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9 22:47본문
Download : 주민자치의 활성화방안.hwp
시민사회 조직의 다원화
시민사회 조직의 다원화 3)경계의 약화 또는 유동화 시민사회가 한국사회에서 자립적 영역으로 활성화되기 시작한 지 10여년만에 경계의 해체... , 주민자치의 활성화방안인문사회레포트 ,
주민자치의 활성화대안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市民사회 조직의 다원화
3)경계의 약화 또는 유동화
市民사회가 한국사회에서 자립적 영역으로 활성화되기 스타트한 지 10여년만에 경계의 해체 또는 유동성이 나타나고 있다아 市民사회는 대체로 비국가영역(non-state-sphere), 비시장영역(non-market sphere)의 성격을 독특하게 갱념화한 것이며, 종종 국가 및 시장과 대립하거나 혹은 국가를 견제하는 역할을 규정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이와 함께 기업의 사회적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및 자원봉사에의 적극적 참여(삼성이나 중앙일보가 대표적일 것)는 이윤추구가 최종적 귀결점이라는 근원적 비판과 상관없이 그동안 자율성의 고유한 활동주체임을 자임하던 NGO나 市民단체에게는 가볍지않은 도전이라고 할 수 있다아 비록 미국에서의 일이기는 하지만 지방政府(정부)가 사회복지관련 市民호로그램(政府(정부)지원으로 활동하는 市民사업)의 효율성을 문제삼으면서 복지호로그램을 아웃소싱하고 여기에 민간기업이 참여한다는 것은 결국 특정한 주체의 고유영역은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아 또한 市民사회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집단이 정당성과 설득력을 얻기위해 사회봉사활동의 비중을 증가시키고 있고 그 결과 활동의 외양에서만 본다면 市民단체와 이익집단의 차이가 점차 감소하고 있다는 점 또한 市民사회 영역안에서 진행되는 경계의 유동화로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국가/市民사회, 政府(정부)/NGO(市民운동), 市民운동/기업을 가르는 경직된 경계선은 `제2건국위원회`, `제2건국위원회`, `주민자치센터`, `내사랑부산市民운동협의회` 등 政府(정부)활동 공간의 확대로 흐려지고 있다아 나아가 수백억원이 넘는 政府(정부)의 市民운동지원 및 협력사업은 지원을 받아들이는 것의 정당성 여부와 별개로 경계선의 약화로 귀결되고 있는 듯 하다. 市民사회의 내외부에서 진행되는 alteration(변화) 가 경계를 유동화시킬 뿐 아니라 총선연대와 같은 市民단체의 활동방식도 경계를 약화시키거나 유동화시키는데 일정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아
▶市民운동의 위상과 역할에 대한 보다…(생략(省略))
시민사회가 한국사회에서 자립적 영역으로 활성화되기 처음 한 지 10여년만에 경계의 해체...
3)경계의 약화 또는 유동화






Download : 주민자치의 활성화방안.hwp( 73 )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