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정치사상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11:57
본문
Download : 북한의정치사상교육.hwp
「혁명전통교양」은 1950년대 말부터 제창되기 스타트했으나 「공산주의교양」에 밀려 전면에 나서지 못했으나 1961년 9월, 4차 당대회 이후부터 크게 부각되었다. 이 운동의 목적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아 하나는 현 북한의 김정일을 비롯한 권력층이 「반일 유격투쟁을 전개한 오랜 혁명경력을 가진 혁명가」라는 것을 북한주민에게 주입시켜 권력자들의 특권적 지위에 역사(歷史)성을 부여하며 「김정일」을 절세의 애국자로 우상화하는 데 있었다.
북한의정치사상교육
북한의정치사상교육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김정일의 항일유격활동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조선혁명의 구체적 조건에 맞게 창조적으로 발전시켜 혁명theory(이론)과 실천을 결부시킨 과정에서 이룩된 귀중한 혁명전통이라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김정일을 사상theory(이론)가…(省略)






다.북한의정치사상교육2 , 북한의정치사상교육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그러면 이 시기에 가장 강조되었던 「혁명전통교양」에 대하여 좀더 언급하고자 한다. 즉, 김정」과 그의 선조들이 겪었다는 「항일유격대」·「항일혁명경력」 등을 조작하여 북한 주민들에게 교육함으로서 그들의 특권적 지위에 역사(歷史)성을 부여하려는 때문일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상개조가 지극히 어렵고 복잡한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날조된 혁명투쟁알화와 자료(資料)를 총동원하여 김정일 과 그 주변 인물들이 겪은 것으로 되어있는 소위 「온갖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고 승리했다」고 날조·선동하여 고생하고 있는 주민들의 심리에 공감케하고 소위 「남조선 혁명」을 위한 과정으로 연결시키고 있다아 여기서 유의할 점은 주체성이니, 자주노선이니 또는 그들 나름의 혁명전통이니 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부정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오히려 마르크스·레닌주의의 원리에 철저히 입각하여 그들의 현실적 조건에 부합되도록 발전시킨다는 것이 그들이 내세우는 요지라는 것이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설명
북한의정치사상교육2
Download : 북한의정치사상교육.hwp( 48 )
북한의정치사상교육에 대하여 알아 보았습니다. 또 다른 목적은 「노동당의 조직과 사상적 기초가 1930년대의 항일투쟁에서 형성되었다」는 것을 날조하고자 함에 있다아 그들은 이 운동을 통하여 김일성 우상화의 물적 근거로 삼기 위하여 소위 혁명전통을 과장·허위·왜곡·날조를 일삼고 있다아 뿐만 아니라 이 운동은 김일성 족벌체제와도 긴밀한 연관성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