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 관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22:31
본문
Download :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hwp
그러면 각 구조별 역할을 알아보자
Download :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hwp( 57 )
순서
- 요트의 선저는 그림과 같이 라운드 보텀(round bottom)정, 플래트 보텀(flat bottom)정, 차인(chine)정, 더블 차인(double chine)정, 그리고 아크 보텀(arc bottom)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544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C%96%91%EC%8A%A4%ED%8F%AC%EC%B8%A0%5D%20%EC%9A%94%ED%8A%B8%EC%9D%98%20%EA%B5%AC%EC%A1%B0%EC%99%80%20%EB%AA%85%EC%B9%AD%EC%97%90-5444_01.jpg)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544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C%96%91%EC%8A%A4%ED%8F%AC%EC%B8%A0%5D%20%EC%9A%94%ED%8A%B8%EC%9D%98%20%EA%B5%AC%EC%A1%B0%EC%99%80%20%EB%AA%85%EC%B9%AD%EC%97%90-5444_02_.jpg)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544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C%96%91%EC%8A%A4%ED%8F%AC%EC%B8%A0%5D%20%EC%9A%94%ED%8A%B8%EC%9D%98%20%EA%B5%AC%EC%A1%B0%EC%99%80%20%EB%AA%85%EC%B9%AD%EC%97%90-5444_03_.jpg)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5444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C%96%91%EC%8A%A4%ED%8F%AC%EC%B8%A0%5D%20%EC%9A%94%ED%8A%B8%EC%9D%98%20%EA%B5%AC%EC%A1%B0%EC%99%80%20%EB%AA%85%EC%B9%AD%EC%97%90-5444_04_.jpg)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5444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9/%5B%ED%95%B4%EC%96%91%EC%8A%A4%ED%8F%AC%EC%B8%A0%5D%20%EC%9A%94%ED%8A%B8%EC%9D%98%20%EA%B5%AC%EC%A1%B0%EC%99%80%20%EB%AA%85%EC%B9%AD%EC%97%90-5444_05_.jpg)
라운드 보텀정은 요트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아주 부드럽게 힐링(heeling)이 되기 때문에 승선감이 좋고 속도가 우수하여 경기정으로 널리 사용된다된다. 차인정은 제작하기 쉽고 라운드정보다 안정성이 높기 때문에 초보자를 위한 연습정으로 널리 사용된다된다. 요트의 선수(船首)를 바라본 정면의 위치에서 왼쪽을 좌현(port side), 오른쪽을 우현(starboard side)이라고 한다.
[해양스포츠] 요트의 구조와 명칭에 관해
해양스포츠,요트의 구조와 명칭
1) 딩기(Dinghy) : 주로 연안이나 내수면에서 경기를 하기 위한 범주정으로 선실이 없는
- 요트는 크게 선체(hull), 돛대(mast), 붐(boom), 리깅(rigging), 돛(sail), 그리고 러더(rudder)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과 같이 선체의 앞부분을 선수(bow), 뒷부분을 선미(stern)라고 하고, 선체의 중앙부분을 선복(midship)이라하며, 여기에 사람이 탈 수 있도록 만들어진 공간을 콕핏(cockpit)이라 한다.
다.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2) 크루저(Cruiser) : 외양의 넓은지역에서 장거리 코스를 항해하며, 주로 외양경기 및 크루징(cruising)용 요트로 일반적으로 최소단위 24ft 이상 대형이며
소형 요트 클래스이다. 또한 돛대를 세우고 돛을 조절하는 등 요트 조작에 필요한 모든 줄을 리깅(rigging)이라 한다.
선실(cabin)을 갖고 있다. 2) 크루저(Cruiser) : 외양의 넓은지역에서 장거리 코스를 항해하며, 주로 외양경기 및 크루징(cruising)용 요트로 일반적으로 최소단위 24ft 이상 대형이며 선실(cabin)을 갖고 있다.1) 딩기(Dinghy) : 주로 연안이나 내수면에서 경기를 하기 위한 범주정으로 선실이 없는 소형 요트 클래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