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전염병 역학단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16:27
본문
Download : 전염병 역학단계.hwp
역학단계
다. --->보건소
2. 유행의 확인
; 진단이 확인된 환자의 수가 과거 몇 년간 같은 시기에 발생했던 수, 즉 통상적으로 존재하던 토착성 발생수준인가, 아니면 그 이상의 수인 유행적 발생수준인가를 판단.
** 유행을 definition 하는데 불현감염과 현성감염의 빈도를 고려한다. 예를 들어 2명의 폴리오 환자가 발생한 경우하든가 콜레라와 같이 평상시에는 발생하지 않는 질환 같은 것은 한 예가 발생해도 유행으로 간주한다.
‘역학곡선’은 글로 기술해 놓은 것보다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drop)
레포트/의약보건






설명
본 자료는 전염병 역학단계에 대해 정리한 리포트입니다.역학단계 , 전염병 역학단계의약보건레포트 ,
,의약보건,레포트
전염병 역학단계
순서
Download : 전염병 역학단계.hwp( 13 )
본 는 전염병 역학단계에 대해 요약한 리포트입니다.
◎ 전염병 역학단계
1. 진단의 확인
2. 유행의 확인
3. 유행資料의 수집 및 analysis(분석)
4. 가설설정 ; 감염원과 전파방식
5. 가설검정
6. 방역활동
◎ 식중독
1. 세균독소에 의한 식중독
2. 세균감염에 의한 식중독
◇ 전염병 역학 모형
◇ 만성병 역학관리를 위한 바퀴모형
◇ 지歷史(역사)회 간호theory
◇ 건강수준 측정(測定)
◇ 역학연구방법
◇ 일차건강관리
1. 진단의 확인 : 신고된 환자 또는 유사환자의 진단을 확인하는 것이 유행조사의 시발점이다.
① 시간별 property(특성) ; 시간의 단위는 질병에 따라 결정 - 시간, 일 , 주, 월, 년
급성질환일 때에는 일 혹은 주 단위가 보통이다. 일단 환자로 의심된 사람들은 모두 같은 원인(原因)에 의해 발병되었음이 확인되어야만 유행여부도 판단할 수 있다아
; 신고된 환자뿐만 아니라 미처 신고되지 않은 환자들도 임상소견을 observe하고 필요한 검사물을 채취하여 진단을 확인한다.
3. 유행資料의 수집 및 analysis(분석)
資料원으로 전염병 신고서, 사망진단서, 병원입원 및 외래환자의 의무기록과 병리검사기록, 직장이나 학교의 병결기록, 산업장 병결계 등을 이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