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22:58
본문
Download : 관련자료-1.hwp
1.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2.한글 맞춤법(1980)
3.표준어규정(1988)
4.한글 학회
개요:.1933년 조선어학회가 제정 ․공표한 국어정서법 통일안. 1948년 公式(공식)적으로 채택한 뒤 한국 정서법의 법전이 되었다. 다시 김선기(金善琪) ․이갑(李鉀) ․이세정(李世楨) ․이탁(李鐸) 등 위원 6인을 더 뽑아 같은 해 12월 개성(開城)에서 원안을 축조(逐條) 심의하여 제1독회를 마치고, 수정위원으로 권덕규 ․김선기 ․김윤경 ․신명균 ․이희승 ․이윤재 &…(생략(省略))
레포트/인문사회
설명
1.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2.한글 맞춤법(1980), 3.표준어규정(1988), 4.한글 학회, , , FileSize : 30K ,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인문사회레포트 , 한글학회 표준어규정 한글맞춤법 한글맞춤법통일안





한글학회,표준어규정,한글맞춤법,한글맞춤법통일안,인문사회,레포트
1.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2.한글 맞춤법(1980), 3.표준어규정(1988), 4.한글 학회, , , 파일크기 : 30K
순서
[한글 맞춤법 통일안] 한글 맞춤법
Download : 관련자료-1.hwp( 58 )
다. 【제정경위】 한글맞춤법은 주시경(周時經)에 의하여 개척되었고 주로 그의 제자들에 의하여 발전된 국어 연구의 결실로서, 1930년 12월 13일 조선어학회 총회의 결의로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제정하기로 하고, 권덕규(權悳奎) ․김윤경(金允經) ․박현식(朴賢植) ․신명균(申明均) ․이병기(李秉岐) ․이희승(李熙昇) ․이윤재(李允宰) ․장지영(張志暎) ․정인승(鄭寅承) ․최현배(崔鉉培) 등 위원 12명이 2년 동안 심의를 거듭한 결과 32년 12월 원안을 완성하였다.